포도상구균 감염병(포도상구균 전염병), Staphylococcal aureus infections

posted in: Uncategorized | 0

포도상구균 감염병(포도상구균 전염병), Staphylococcal aureus infections

[Please visit www.drleepediatrics.com-제 1권 소아청소년 응급의료- 제 2부  소아청소년 응급의료 –제6장: 소아청소년 감염병 응급의료 (한글로 쓴) and www.drleepediatrics.com-Volum  1 Emergency Medical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Part 2 Emergency Medical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Chapter 6: Emergency Medical Care for Pediatric and Adolescent infectious  Diseases (Written in English).]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병의 개요와 원인

 1.jpg

그림 2-42. 전자 현미경으로 본 황색 포도상구균

메티실린(Methicillin) 항생제 치료에 내성이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과 메티실린 항생제 치료에 내성이 없는 황색 포도상구균으로 분류한다.

메티실린은 페니실린 계에 속하는 항생제이다. 출처– 미 CDC

2.jpg

그림 2-43. 보통 현미경으로 본 황색 포도상구균

메티실린(Methicillin)에 내성이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과 메티실린에 내성이 없는 황색 포도상구균으로 분류된다메티실린은 페니실린 계에 속하는 항생제이다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 FAAP

  • 포도상구균은 일종의 그람 양성 박테리아다.
  • 참고로 포도상구균을 포도알구균포도구균이라고도 한다.
  • 포도상구균을
    •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 표피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 용혈성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haemolyticus),
    • 부패성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포도상구균은 혈장응고효소(Coagulase) 양성균과 음성균으로 나눈다.
  • 그 중 황색 포도상구균은 혈장응고효소(Coagulase) 양성균에 속한다.
  • 여러 종류의 포도상구균 중 황색 포도상구균이 감염병을 더 잘 일으킬 수 있다.
  • 황색 포도상구균은 또 다시 여러 균종으로 세분된다.
  •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감염병을 여기서 주로 설명한다.
  • 편의상 황색 포도상구균을 포도상구균또는 황색 포도상구균이라고 칭한다.
  • 황색 포도상구균이 20~50%의 건강한 사람들의 손콧구멍비강 속콧구멍 근처에서 발견된다하지만황색 포도상구균은 건강한 사람들의 건전한 피부나 점막층을 통과해서 신체 속으로 감염되어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을 잘 일으키지 않는다.
  • 그렇지만신체의 어느 부위가 손상되어 생긴 상처피부에 생긴 자상이나 찰과상 등으로 생긴 상처와 같이 황색 포도상구균에 감염되기 쉬운 상처에 황색 포도상구균이 감염되든지 그 부위를 통해 신체 내로 감염되어 다음과 같은 여러 종류의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을 일으킬 수 있다

3.jpg

사진 2-44. 황색 포도상구균 피부 감염으로 농가진이 생길 수 있다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4.jpg

사진 2-45. 콧구멍과 콧구멍 가장자리에 난 황색 포도상구균 피부 감염병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5.jpg

사진 2-46. 신생아에게 생긴 황색 포도상구균 기저귀 피부염.

일종의 신생아 농가진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6.jpg

사진 2-47. 얼굴과 턱에 난 황색 포도상구균 농가진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감염병 및 질병

  • 포도상구균 농가진(부스럼/Staphylococcal impetigo) (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양호 질환신생아 농가진17권 소아청소년 피부질환농가진 참조)
  • 포도상구균 종기(Staphylococcal abscesses) (호발주/뾰루지) (종기농가진 참조)
  • 포도상구균 골수염과 관절염(Staphylococcal osteomyelitis and arthritis) (16권 소아청소년 정형외과 질환골수염급성 관절염 참조)
  • 포도상구균 폐렴과 농흉(Staphylococcal pneumonia and empyema) (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포도상구균 폐렴늑막염과 농흉 참조)
  • 포도상구균 안와 주위 봉소염(Staphylococcal periorbital cellulitis) (19권 소아청소년 안과질환안와 주위 봉소염 참조)
  • 포도상구균 근육염(Staphylococcal myositis)
  • 포도상구균 패혈증(Staphylococcal septicemia) (패혈증 참조)
  • 포도상구균 식중독(Staphylococcal food poisoning) (식중독 참조)
  • 포도상구균 열상감염이나 자상 감염 (Staphylococcal infection of laceration or punctured wound)(1권 소아청소년 응급 의료자상절상 참조)
  • 포도상구균 림프절염 (Staphylococcal lymphadenitis) (13권 소아청소년 혈액림프종양 질환목에 있는 림프절 비대와 림프절염 참조)
  • 포도상구균 간 농양(Staphylococcal liver abscesses)
  • 포도상구균 뇌 농양(Staphylococcal brain abscesses)
  • 포도상구균 독성 쇼크 증후군(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 포도상구균 화상 피부 증후군(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ssss)(15권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질환 참조)
  • 포도상구균 괴사성 근막염 (Staphylococcal necrotizing fasciitis) 포도상구균 괴사성 폐렴 (Staphylococcal necrotizing pneumonia)
  • 포도상구균 전격성 자반병 (Staphylococcal purpura fulminans)
  • 포도상구균 심장 내막염(Staphylococcal endocarditis)(11권 소아청소년 심장 혈관계 질환 참조)
  • 포도상구균 급성 신장염(Staphylococcal acute nephritis)
  • 다형 홍반(Erythema multiform)(17권 소아청소년피부질환 참조)
  • 포도상구균 척추염(Staphylococcal vertebritis)(16권 소아청소년 정형외과 질환 참조
  •  평소 20~50%의 사람들의 비강의 앞쪽 부분이나 콧구멍의 가장자리손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 황색 포도상구균을 보균하고 있다.
  • 황색 포도상구균을 보균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게 황색 포도상구균을 감염시킬 수 있다.
  • 많은 경우본인이 자기 자신에게도 자가 감염시킬 수 있다.
  • 일반적으로 황색 포도상구균은 상처가 전혀 나지 않은 건강한 피부나 점막을 통해 체내로 잘 감염되지 않지만 불결한 피부나 상처를 통해상처 입은 점막을 통해 잘 감염될 수 있다.
  • 황색 포도상구균이 피부에 감염되어 농가진종기봉소염 등 황색 포도상구균 피부염 및또는 다른 여러 종류의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이 피부 이외 신체의 여러 부분에 생길 수 있다.
  • 황색 포도상구균을 보균한 사람이나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병소에서 나온 피나 고름 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피나 고름이 신체 다른 어느 부위에 직접 접촉될 때 황색 포도상구균에 감염될 수 있다.

7.jpg

사진 2-48. 황색 포도상구균 종기

세균 감염으로 종기가 날 때는

1-아프다,

2-붓는다,

3-붉어진다,

4-국소염이 난다.

이 4가지 증상 징후가 종기 등을 진단하는 임상 기준이 될 수 있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8.jpg

사진 2-49. 콧구멍 속과 콧구멍 가장자리에 난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및 질병의 잠복기

  •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이 신체 어느 부위에 생겨 있나신체의 어떤 계통의 어떤 기관이나 조직에 생겨 있는지에 따라 잠복기가 다르다.
  • 농가진이나 화상 피부 증후군의 잠복기는 1~10일이고
  • 그 밖의 포도상구균  감염병들의 잠복기는 때에 따라 다르다.
  • 포도상구균 식중독의 잠복기는 30~8시간이다.
  • 화상 피부 증후군(Scalded skin syndrome)의 잠복기는 1~10일이다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및 질병의 증상 징후

  •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의 증상 징후는 감염병이 생긴 신체의 각 계통의 기관과 조직 ,
  • 감염병의 정도병일 등에 따라 다르다.
  • 앞서 나열한 각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의 증상 징후는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의 각항을 참조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및 질병의 진단

  • 병력증상 징후진찰소견 등을 종합하여 진단하는 것이 보통이다.
  •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의 종류 및또는 신체의 어느 부위에 생겼는지에 따라 진단 치료의 방법이 다를 수 있다.
  • 예를 들면황색 포도상구균  골수염황색 포도상구균  관절염또는 황색 포도상구균  폐렴 등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중한 포도상구균  감염병을 앓을 때는 항생제 치료를 바로 시작하기 바로 전가능한 한 환부나 병소 또는 적절한 신체의 부위에서 피고름또는 가피 등 세균  검사용 피검 물을 적절히 채취해 황색 포도상구균 그람 염색 현미경 세균 검사와 세균 배양검사 등을 하면서 어떤 종류의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해 그  감염병이 생겼는지 알아보면서 항생제 치료를  바로 시작할 수 있다.
  •  그람 염색 현미경 세균 검사세균 배양검사황색 포도상구균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그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치료에 가장 잘 듣는 항생제를 선택해 그 항생제로 치료하고 필요에 따라 배농 수술 치료도 적절히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치료다.
  • PNA-FISH. MALDI-TOF, Cepheid 검사로 진단한다.
  • 그러나 이런 검사를 다 하기 전에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에 가장 많이 권장하는 항생제를 경험적으로 선택해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 황색 포도상구균이 커뮤니티 관련(성) 황색 포도상구균(CMMRSA)”에 속하는지 알아보는데 “D 테스트를 하기도 한다.  세균검사 참조.
  • 메티실린(Methicillin) 항생제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 감염됐을 때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 감염됐는지메티실린 내성이 없는 보통 황색 포도상구균에 감염됐는지 2시간 내 알아볼 수 있는 BD GenOhm Staph SR 검사 방법  이 최근 미 FDA의 허가를 받았다(Pediatric News, February 2008, p.5).
  • 비 증폭분자 분석검사로도 진단할 수 있다.

 9.jpg

사진 2-50. 황색 포도상구균 모낭염(여포염)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소아청소년들의 피부에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이 더 잘 생길 수 있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및 질병의 치료

  • Cefuroxime, Linezoli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Gentamicin, Quinupristin-dalfopristin, Daptomycin,  Tigecycline, 메티실린(Methicillin), Oxacillin, Dicloxacillin, Nafcillin, Vancomycin 등 여러 종류의 항생제들 중 한 종류나 두 종류의 항생제를 선택해서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을 치료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항생제와 면역 글로불린으로도 치료한다.
  • 황색 포도상구균은 환아가 살고 있는 지방이나 나라에 따라그때그때에 따라또 해마다 메티실린 항생제에 내성이 생길 수 있다.
  • 그래서 이상 열거한 항생제로 치료할 때 황색 포도상구균이 그 항생제에 죽지 않아서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이 치료되지 않을 수 있다이런 황색 포도상구균을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이라 한다.
  • 메티실린 내성이 있는 포도상 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점염병을 항생제 치료를 할 때 심각한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의 치료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병원 내 황색 포도상구균에 감염되지 않고 병원 바깥즉 평소 살고 있는 지역에서 감염되어 생긴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이 메티실린 항생제로 치료 되지 않을 수가 가끔 있다.
  • 이런 황색 포도상구균을 커뮤니티 관련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Community-acquir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CA-MRSA) “라 한다.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lindamycin, Minocycline, Doxycycline, Linezolid, daptomycin, Quinupristin-dalfopristin, Vancomycin 등의 항생제 중 한 종류를 선택해서 커뮤니티 관련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감염병을 요즘 치료하기도 한다.
  • 몇 년 전에는메티실린(Methicillin sodium) 내성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감염병을 Vancomycin 제로 치료했으나 최근에는 Daptomycin제로 치료하기도 한다출처: Infectious disease in children, June 2008.
  • 이런저런 이유로어디까지나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감염병을 치료할 때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서 치료 한다.
  •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감염병의 병소에서 가능한 한 피고름 등 적절한 세균 검사용 피검 물을 채취해서 그람 염색 현미경 세균 검사세균 배양검사및 항생제 세균 감수성 검사를 해서 진단 치료 하는 것이 이상적 치료 방법이다.
  • 그러나 이런 식으로 치료하려면 치료비용이 상당하다. 또 이런 식의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 시설이 갖추어져야 한다.
  • 황색 포도상구균 종기나 봉소염 등으로 고름이 잡혀있으면 배농 수술 치료하고 필요에 따라 더운찜질 치료 하고 적절한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 부스럼과 같이 경미한 황색 포도상구균 피부 감염병은 경구용 항생제 및또는 박트로반 항생제 연고(Bactroban Ointment/Mupirocin ointment) 등으로 치료할 수 있다.
  • 이런 항생제 치료를 할 때도 어디까지나 의사의 판단에 따라 치료한다.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및 질병의 격리

  •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감염병 환부에서 나온 황색 포도상구균이 손이나 의복 등에 묻거나 그 환부가 신체의 다른 어느 부위에 직접 접촉될 때 황색 포도상구균이 환아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감염될 수 있다.
  • 또 환부에서 나오는 진물이나 피고름을 닦은 치료용 거즈나 종기나 부스럼 등을 치료할 때 쓴 의료 기구에 접촉해도 감염될 수 있다.
  • 다 낫지 않은 농가진이나 종기 등 포도상구균 피부염을 거즈나 반창고 등으로 덮어서 황색 포도상구균이 환아 본인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더 이상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
  •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병원에 입원할 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그 환자를 다른 환자로부터 격리 치료 한다.
  • 주치 의와 주치 간호사 자신에게 감염되지 않게 장갑을 끼는 등 세심한 감염병 예방을 해야 한다.
  •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을 앓는 아이와 접촉했을 때는 황색 포도상구균에 접촉된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
  • 따라서 접촉된 후 10일 간 조심히 관찰해야 한다.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소아가정간호백과]-제 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육아 질환신생아 농가진,17권 소아청소년 피부질환농가진 참조.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및 질병의 예방

  • 아직까지 예방접종 백신은 없다.
  • 이 병을 항생제로 예방하지 않는다.
  • 가장 좋은 예방 방법은 손을 평소에 깨끗이 씻는 방법이다.

재발성 메칠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 감염병 예방 Recurrent MRSA infections prevention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예방하라고 권장한다.

  • 국소 항생제- Mupirocin
  •  전신 항생제-Bacterium 이나 Rifampin
  •  애완 동물 및 전 가족에서 세균 배양을 필요에 따라 하고 그에 따라 치료 한다.
  •  환부를 거즈 등으로 덥는다.
  •  1 차수저 Bleach를 1갤론 물로 희석한 후 그 물로 목욕한다. Chlorhexadine 국소 항세균제 등을 묻힌 목욕 스폰지로 겨드랑, 사타구니, 항문 등을 씻는다.
  • 목욕수건, 홋이불, 옷 등을 자주 세탁해 입는다.  참조 및 소스:HARVARD MEDICAL SCHOOL, INFECTIOUS DISEASES IN PRIMARY CARE OCTOBER 14-16, 2015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면에서 위생관리를 특히 더 잘 해야 한다.

① 수건면도비누화장도구 등을 서로 같이 쓰지 않는다.
② 피부에 상처가 생기면 물과 비누로 깨끗이 씻고 적절한 살균제로 바로 치료한다참고로 저자는 파이소텍스 살균제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③ Chlohexdine이나 황색 포도상구균을 죽일 수 있는 비누를 적절히 사용한다.
④ Mupirocin 연고를 코 구멍 속과 그 주위에 필요에 따라 바른다.
⑤ 손을 더 깨끗이 씻는다.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및 질병의 합병증

① 포도상 구균이 신체의 다른 계통의 다른 부위로 자가 감염될 수 있고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② 포도상구균 패혈증.

③ 폐신장간장 등 각계통의 각종 내장에 포도상구균 농양.

④ 포도상구균 골수염.

⑤ 포도상구균 심내막염 .

⑥ 포도상구균 뇌 농양.

⑦ 포도상구균 척추 농양.

⑧ 그 외

아토피 피부염과 화농성 피부염

  •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사람들의 피부층에 피부 펩티드(Skin peptide)의 농도는 비정상적으로 더 낮다그래서 그들의 피부에 화농성 피부염이 더 잘 생길 수 있다.
  • 아토피 피부염의 주 증상의 하나가 가려운 증상즉 소양감이다.
  • 피부에 가려운 증상 징후가 생기면 긁고긁으면 긁힌 피부에 상처가 나고그 상처를 통해 황색 포도상구균이나 A군 연구균 등 화농성 세균이 감염되어 농가진종기모낭염또는 뾰루지 등이 날 수 있다.
  • 이런 이유로아토피 피부염이 있지 않은 소아청소년들보다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소아청소년들의 피부에 황색 포도상구균 피부염이 더 잘 생긴다.
  • 다시 설명하면화농성 세균성 피부염을 예방할 수 있는 피부 펩티드 농도가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소아청소년들의 피부층에는 정상보다 낮기 때문에 그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소아청소년들이나 아토피 피부염의 병력이 있는 소아청소년들에게 화농성 세균성 피부염이 더 잘 생긴다.

황색 포도상구균이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그로 인한 황색 포도상균 감염병 치료에 요즘 심각한 임상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감염병을 치료하는데 특히 효과가 있다고 잘 알려진 항생제 메티실린(Methicillin)이나 밴코마이신(Vancomycin) 등 항생제 치료에도 황색 포도상구균이 내성이 생겨 큰 걱정거리이다.
  • 요즘메티실린 항생제나 밴코마이신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병원 관련(성) 황색 포도상구균감염으로 생긴 감염병이 병원 중환자실신생아실또는 일반 환자실 등에 입원한 사람들에게 점점 더 많이 발생되는 추세다.
  • 그뿐만 아니라병원의 바깥 지역사회에서 사는 사람들에게도 생긴 커뮤니티 관련성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병소에서 발견된 황색 포도상구균이 메티실린 항생제 치료에 내성이 생기고 있다.
  • 메티실린 내성이 있는 병원 관련성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에서 발견된 황색 포도상구균이 메티실린에 내성이 있을 때 그 황색 포도상구균을 병원 관련성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HMRSA)이라한다.
  • 병원 바깥 지역사회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생긴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에서 발견된 황색 포도상구균이 메티실린에 내성이 있을 때 메티실린에 내성이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을 지역사회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또는 커뮤니티 관련성 황색 포도상구균(CMMRSA)“이라 한다이 두 가지 분류는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 치료에 상당히 도움 된다.
  • 메티실린에 내성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감염으로 생긴 종기 등을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Minocyclin, 또는 Clindamycin 등 항생제로 치료하기도 한다.
  • 그래서 내성이 생겨 이런 항생제에 죽지 않는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긴 폐렴이나 관절염 등을 치료하는 데 큰 문제가 생기고이런 황색 포도상구균으로 생긴 종기 등을 치료하는 데도 문제가 생기고 있다.
  • 요즘메티실린에 내성이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은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항생제 등 다른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고피부에 생긴 경미한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병은 뮤피로신(Mupirocin 연고박트로반 연고등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 때로는 그런 종류의 항생제에도 내성이 생길 수 있다.

출처 및 참조 문헌 Sources and references

  • NelsonTextbook of Pediatrics 22ND Ed
  •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
  •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Red Book 32nd Ed 2021-2024
  •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Academy Pediatric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5th ed Roger M. Barkin, Peter Rosen, p.548
  •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 Emergency care,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
  •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Delmer J. Pascoe, M.D., Moses Grossman, M.D. with 26 contributors
  • Manual of Emergency Care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이상원 저
  • The pregnancy Bible. By Joan stone, MD. Keith Eddleman, MD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  이상원
  • Breastfeeding. by Ruth Lawrence and Robert Lawrence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4th ed. Beherman,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18th edition
  • Red book 29th-31st Ed 2021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21st Edition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shon, Catherine Wilfert
  • The Harriet Lane Handbook 19th Edition
  •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George H. Lowrey 8th edition
  •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 제1권 소아청소년 응급의료 참조문헌과 출처
  • Other

 

  • www.drleepediatrics.com 제1권 소아청소년 응급 의료
  • www.drleepediatrics.com 제2권 소아청소년 예방
  • www.drleepediatrics.com 제3권 소아청소년 성장 발육 육아
  • www.drleepediatrics.com 제4권 모유,모유수유, 이유
  • www.drleepediatrics.com 제5권 인공영양, 우유, 이유식,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 www.drleepediatrics.com 제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육아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제7권 소아청소년 감염병
  • www.drleepediatrics.com제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9권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0권. 소아청소년 신장 비뇨 생식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1권. 소아청소년 심장 혈관계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2권. 소아청소년 신경 정신 질환, 행동 수면 문제
  • www.drleepediatrics.com제13권. 소아청소년 혈액, 림프, 종양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4권. 소아청소년 내분비, 유전, 염색체, 대사, 희귀병
  • www.drleepediatrics.com제15권.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자가 면역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6권. 소아청소년 정형외과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7권. 소아청소년 피부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8권. 소아청소년 이비인후(귀 코 인두 후두)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9권. 소아청소년  안과 (눈)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0권 소아청소년 이 (치아)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1권 소아청소년 가정 학교 간호
  • www.drleepediatrics.com 제22권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우세요
  • www.drleepediatrics.com 제23권 사춘기 아이들의 성장 발육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 제24권 소아청소년 성교육
  • www.drleepediatrics.com 제25권 임신, 분만, 출산, 신생아 돌보기
  • Red book 29th-31st edition 2021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21st Edition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ition
  •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이상원 저
  • The pregnancy Bible. By Joan stone, MD. Keith Eddleman, MD
  • Neonatology Jeffrey J. Pomerance, C. Joan Richardson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이상원
  • Breastfeeding. by Ruth Lawrence and Robert Lawrence
  • Sources and references on Growth, Development, Cares, and Diseases of Newborn Infants
  •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 Emergency care,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
  •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Delmer J. Pascoe, M.D., Moses Grossman, M.D. with 26 contributors
  • Neonatal resuscitation Ameican academy of pediatrics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Pediatric Resusci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Stephen M. Schexnayder, M.D.
  • Pediatric Critical Care,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James P. Orlowski, M.D.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 4권 모유모유수유이유 참조문헌 및 출처
  • 5권 인공영양우유, 이유, 비타민, 단백질지방 탄수 화물 참조문헌 및 출처
  • 6권 신생아 성장발육 양호 질병 참조문헌 및 출처
  •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Copyright ⓒ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