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충증, Ascariasis(Ascaris lumbricoides Infections)
[Please visit www.drleepediatrics.com-제 1권 소아청소년 응급의료- 제 2부 소아청소년 응급의료 –제6장: 소아청소년 감염병 응급의료 (한글로 쓴) and www.drleepediatrics.com-Volum 1 Emergency Medical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Part 2 Emergency Medical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Chapter 6: Emergency Medical Care for Pediatric and Adolescent infectious Diseases (Written in English).]
회충증의 역학, 원인
-
회충(Ascaris lumbricoides) 감염으로 생기는 기생충증을 회충증 또는 거시배라고 한다.
-
회충에는 암컷과 수컷이 있고 암컷과 수컷의 크기가 다르다(사진 5-3).
-
암컷 성충 회충은 하루에 2십만개의 알을 낳는다고 한다. 그런 알들이 대변을 통해서 흙으로 분비된 후 흙에서 약 2-3주 내 회충의 배아가 된다. 그 배아가 경구를 통해서 소장에 들어간 후 부화된 후 유충(larva)이 된다. 그 유충이 장 점막을 뜷고 간 정맥→ 간과 폐→기도→기관→인두→삼킨다→장관→성충 회충이 된다. .
-
성숙한 수컷 회충의 길이는 15∼25cm, 암컷은 25∼35cm 길고, 몸통의 직경이 3∼6mm이다.
-
지렁이와 같이 가늘고 길고 둥근 원형으로 생긴 기생충이다.
-
수컷 회충이나 새끼 회충은 어미 암컷 회충보다 훨씬 작다.
-
회충은 작은 창자 속에서 주로 기생한다.
-
경제적으로 빈곤한 나라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이 기생충 병이 발생한다.
-
회충 알이 오염된 음료수, 음식물을 통해서 경구 경로로 소장관 속에 도달 해서 거기서 회충이 기생한다.잠복기
- 회중알을 경구로 섭취한 후 그 알이 장관내에서 깨서 성충 회충이 된 후 그 성충 회충이 알을 깔 때까지의 기간은 약 8주이다.
회충증의 증상 징후

사진 5-3. 회충의 암컷과 수컷의 흑백사진. 수컷(상), 암컷(하)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사진 5-4. 회충의 암컷의 칼라사진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
경구를 통해서 소장관 속으로 들어온 회충 알이 깐 후 회충 유충이 된다.
-
소장관 유충이 호흡기 내로 이주할 때 호기성 천명이 생기고 기침을 하면서 알레르기성 폐렴이 생길 수 있다.
-
소장관 속에서 기생하는 회충의 수에 따라 증상이 조금씩 다르다.,
-
신체 어느 계통, 어느 부위에 기생하느냐에 따라 회충증의 증상 징후가 많이 다르다.
-
극소수의 회충이 소장관 속에서 기생할 때는 증상 징후가 거의 없거나 영양실조 등 비특이 증상 징후가 생길 수 있다.
-
소장관 내 회충의 수가 상당히 많아질 때는 심한 복통이 생길 수 있고 구토도 할 수 있다.
-
담즙이 섞인 위장 액을 토할 수 있고 때로는 어미 회충을 통째로 토하기도 한다.
-
지방변증도 생길 수 있다.
-
여러개의 회충들이 서로 엉겨 붙어서 회충 뭉치가 되고 그 뭉치로 소장관이 폐쇄될 수도 있다.
-
어떤 위장관 감염병 등으로 구토하거나 기침 할 때 위장관 속에 있던 어미 회충이 경구로나 비강을 통해서 입 밖으로 나올 수 있다.
-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고 증상 징후가 없어도 어미 회충이 대변과 같이 자연히 나올 수 있다. 회충이 위장관 속 이외 복강 내 다른 장기 속으로 이주하여 복막염·담도폐색증·충수염 등 여러 가지 회충병을 일으킬 수 있다.
-
회충의 새끼벌레가 장관 벽을 뚫고 혈류를 따라 신체의 다른 계통의 다른 부위로 이주할 때 회충 알레르기성 폐렴이 생길 수 있고 호산구 증가(증)가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를 호산구 증과 Loffler 증후군이라고 한다.
-
회충증이 있을 때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이나 그 밖의 다른 여러 가지 병을 일으킬 수 있다.
-
앞에서 설명한 증상 징후 이외 복통, 식욕감퇴, 체중감소, 불면증, 미열, 신경질, 영양장애, 이미증 등이 생길 수 있다.
-
회충의 유충이 체내에서 이행할 때 호산구증과 뢰플러( Loffler ) 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회충증의 진단 치료
-
병력·증상 징후·진찰소견을 종합해서 회충증이 의심되면, 대변에서 어미 회충이나 회충 알을 현미경으로 검출해서 회충증을 진단할 수 있다.
-
드물지만 대변이나 입 안으로 나온 어미 회충을 보고 회충증이 있는지 처음 진단할 때도 있다.
-
복부 울트라사운드 검사 또는 복부 CT 검사로 어미 회충을 찾아낼 수 있다.
-
메벤다졸(Mebendazole/Vermax) 100mg을 1일 2회 3일간 복용하면 거의 100% 완치될 수 있다. 1차 치료를 하고 1주 후 같은 방법으로 메벤다졸로 2차 치료한다.
-
2세 이전의 영유아들에게는 메벤다졸로 치료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
그 대신 피란텔 파모에이트(Pyrantel pamoate)를 체중 1kg 당 11mg을 1회 복용해 치료할 수 있다.
-
피페라진(Piperazine)약물로 회충증을 치료할 수 있다.
-
때로는 Albendazole제로 치료할 수 있으나 임신부는 이 약으로 치료받을 수 없다. 그외 Nitazoxanide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
파파야씨 분 한 티스푼을 설탕물에 섞어 1주에 1회, 총 2주 복용하면 회충, 십이지장충, 편충으로 생긴 기생충증이 치료될 수 있다( 표1-4 기생충 감염 치료).
-
드문 경우이지만 회충으로 소장관이 막혔을 때는 수술로 치료하기도 한다. 또는 비위관으로 위장관 액을 뽑아 치료하면서 항 회충약물로 치료하기도 한다.
회충증의 예방
-
암컷 어미 회충이 알을 낳을 수 있다.
-
어미 회충이 소장관 속에서 낳은 회충 알이 대변과 같이 몸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
-
대변에 있던 회충 알이 채소나 흙 등에 오염되었을 때, 그 채소를 깨끗이 씻지 않거나 익히지 않은 채로 먹을 때 회충증에 걸릴 수 있다.
-
회충 알에 오염된 흙이나 변기 등을 맨손으로 만진 후에 손을 씻지 않고 음식물을 먹을 때 회충 알이 경구를 통해 몸속으로 들어가서 회충증에 걸릴 수 있다.
-
인분을 거름으로 사용할 때도 회충 알이 다른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
-
충분한 기간 동안 인분을 썩히면 회충 알이 죽는다.
-
회충 알에 오염된 채소 등을 물로 잘 씻은 후 먹어야 한다.
-
특히 식사하기 바로 전 손을 깨끗이 씻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
변기를 깨끗이 청소해서 회충증을 예방해야 한다.
|
다음은 “회충증”에 관한 인터넷 소아청소년 건강 상담 질의응답의 예 입니다. |
Q.&A. 회충증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Q.
안녕하세요.
우리 둘째가 26개월 된 남자아이입니다.
3주전에 가족모두 구충제를 먹었는데, 둘째의 변에서 긴회충이 나왔습니다.
그것두 2마리나 나왔습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며 또 다시 구충제를 먹여야 하나요?
답변해주세요.
A.
춘선님
안녕하세요.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질문입니다.
자녀의 나이, 성별, 과거 병력, 가족 병력, 진찰소견, 임상검사 등의 정보를 많이 알수록 답변을 드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주신 정보를 토대로 해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조국 월드컵 대승을 축하합니다.
회충이 나왔으면 아기가 구충제로 한 번 더 치료받든지 대변 기생충 검사를 한 번 더 하든지, 온 식구들이 대변 기생충 검사를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나 기생충이 체내에 있으면서 대변 기생충 검사의 결과가 허위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전 식구 변 검사를 하지 않고 온 식구가 다시 한 번 구충제를 복용하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어디에서 기생충이 감염됐는지 알아보시고 회충증에 걸리지 않게 예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소아청소년과에서 이 문제에 관해서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회충증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질문이 더 있으면 다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상원 드림
출처 및 참조 문헌 Sources and references
- NelsonTextbook of Pediatrics 22ND Ed
-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
-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Red Book 32nd Ed 2021-2024
-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Academy Pediatrics
- www.drleepediatrics.com 제1권 소아청소년 응급 의료
- www.drleepediatrics.com 제2권 소아청소년 예방
- www.drleepediatrics.com 제3권 소아청소년 성장 발육 육아
- www.drleepediatrics.com 제4권 모유,모유수유, 이유
- www.drleepediatrics.com 제5권 인공영양, 우유, 이유식,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 www.drleepediatrics.com 제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육아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제7권 소아청소년 감염병
- www.drleepediatrics.com제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9권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0권. 소아청소년 신장 비뇨 생식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1권. 소아청소년 심장 혈관계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2권. 소아청소년 신경 정신 질환, 행동 수면 문제
- www.drleepediatrics.com제13권. 소아청소년 혈액, 림프, 종양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4권. 소아청소년 내분비, 유전, 염색체, 대사, 희귀병
- www.drleepediatrics.com제15권.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자가 면역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6권. 소아청소년 정형외과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7권. 소아청소년 피부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8권. 소아청소년 이비인후(귀 코 인두 후두)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9권. 소아청소년 안과 (눈)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0권 소아청소년 이 (치아)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1권 소아청소년 가정 학교 간호
- www.drleepediatrics.com 제22권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우세요
- www.drleepediatrics.com 제23권 사춘기 아이들의 성장 발육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 제24권 소아청소년 성교육
- www.drleepediatrics.com 제25권 임신, 분만, 출산, 신생아 돌보기
- Red book 29th-31st edition 2021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21st Edition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ition
-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이상원 저
- The pregnancy Bible. By Joan stone, MD. Keith Eddleman, MD
- Neonatology Jeffrey J. Pomerance, C. Joan Richardson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 이상원
- Breastfeeding. by Ruth Lawrence and Robert Lawrence
- Sources and references on Growth, Development, Cares, and Diseases of Newborn Infants
-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 Emergency care,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
-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Delmer J. Pascoe, M.D., Moses Grossman, M.D. with 26 contributors
- Neonatal resuscitation Ameican academy of pediatrics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Pediatric Resusci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Stephen M. Schexnayder, M.D.
-
Pediatric Critical Care,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James P. Orlowski, M.D.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 제4권 모유, 모유수유, 이유 참조문헌 및 출처
- 제5권 인공영양, 우유, 이유, 비타민, 단백질, 지방 탄수 화물 참조문헌 및 출처
- 제6권 신생아 성장발육 양호 질병 참조문헌 및 출처
-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Copyright ⓒ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